Elasticsearch 플러그인의 도입을 고려할 때, 초기 설치 및 설정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. 본 문서는 이러한 초기 진입 장벽을 낮추고, 명확한 절차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활하게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.
0. 시작 전 준비 사항
본 튜토리얼을 진행하기에 앞서, 아래의 개발 환경이 구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.
- Node.js: v18.0 이상 (
node -v
명령어로 버전 확인) - 코드 에디터: VS Code 또는 기타 선호하는 편집기
모든 요구사항이 충족되었다면, 프로젝트를 진행할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해당 경로로 이동한다.
mkdir my-project
cd my-project
1단계: 플러그인 설치
가장 먼저, 다음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여 Elasticsearch 플러그인을 설치한다. 여기서는 예시로 analysis-nori
플러그인을 사용한다.
sudo /usr/share/elasticsearch/bin/elasticsearch-plugin install analysis-nori
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, 아래와 유사한 성공 메시지가 터미널에 출력된다.
-> Installing analysis-nori
-> Installed analysis-nori
만약 permission denied 관련 오류가 발생할 경우, 명령어 앞에 sudo를 추가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.
2단계: 초기 설정 및 코드 작성
플러그인 설치 후, 실제 코드를 작성할 파일을 생성한다. 프로젝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index.js 파일을 생성한다.
생성된 index.js 파일에 아래의 예제 코드를 작성한다. 이 코드는 Node.js 환경에서 일반적인 라이브러리 사용을 보여주는 예시이다.
// 1. 설치된 라이브러리를 import 한다.
const myApplicationLibrary = require('my-application-library');
// 2. 실행할 함수를 정의한다.
function main() {
console.log('Hello, World!');
}
// 3. 정의된 함수를 호출한다.
main();
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require 대신 ES6의 import 구문을 사용하는 것이 모범 사례(Best Practice)에 해당한다.
3단계: 실행 및 결과 확인
모든 코드 작성이 완료되었다.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스크립트를 실행한다.
node index.js
아래와 같이 “Hello, World!” 문자열이 터미널에 출력되면 성공적으로 실행된 것이다.

결론
이상으로 Elasticsearch 플러그인의 기본적인 설치 및 실행 과정을 검토하였다. 본 튜토리얼에서 다룬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, 더욱 복잡하고 유용한 기능을 구현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.
추가적인 문의 사항이 있을 경우, 댓글을 통해 질문할 수 있다.